본문 바로가기
커피

커피로스팅 로스터기의 특성과 종류

by 인투제이 2023. 1. 16.
반응형

로스터기 직화식 커피로스팅

버너에서 발생한 열의 반 정도는 구멍 뚫린 드럼으로 흡수됩니다. 그 열이 접촉열과 복사열의 형태로 원두에 열을 전달한다. 반 정도의 열은 구멍 뚫린 드럼을 통해 비교적 온도가 높은 대류열이 되어 원두에 열을 전달한다. 어느 정도는 드럼 자체의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원두가 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연속으로 로스팅을 진행하면서 로스터기 본체에 열이 축적되기 때문에 로스팅에 주는 영향도 커집니다. 커피 원두 바깥에 많은 열이 가해져 원두 내부로 열이 전달되기 어렵다. 드럼에서 나온 커피 원두의 채프에 불이 붙어 2차 팝핑이 가까워지는 시점부터 탄내가 원두에 묻힙니다. 

 

로스터기 반열풍식 커피로스팅

버너에서 발생한 열의 반 정도는 구멍이 없는 드럼으로 흡수되고 그 열이 접촉열과 복사열이 되어 원두에 열을 전달한다. 발생된 열의 나머지 반은 낮은 온도의 대류열의 형태로 원두에 열을 전달한다. 대류열의 온도가 낮아 그 열이 원두의 중심까지 전달되기 어렵다. 때문에 로스팅 시간을 짧게 하면 미디엄 로스트부터 시티 로스트까지의 지점에서 원두의 내부가 설익은 형태가 되기 쉽다. 시간을 길게 잡으면 원두의 표면이 타버려서 맛이 좋지가 않다. 드럼의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표면이 타기 쉽다. 연속으로 로스팅을 하면 로스터기 원래 본체에 열이 계속 배출되어 로스팅에 영향을 준다. 

 

 

로스터기 열풍식 커피로스팅

발생한 열의 대부분이 고온의 대류열 형태로 원두에 열을 전달한다. 대류열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열이 원두의 중심까지 전달되기 쉬워 복사열이나 접촉열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드럼의 온도는 100℃ 전후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연속으로 로스팅해도 본체에 축적되는 열이 매우 적다. 그렇기에 원두 로스팅에 영향도 적다. 미디엄 로스트부터 시티 로스트 지점에서 떫은맛 등도 적어 커피 맛이 선명하다. 시티 로스트부터 풀시티 로스트 지점에서는 신맛이 줄어들고 감칠맛이 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