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에서 커피는 이제 빼놓을 수 없는 음료이다. 대인간에 관계에서 소통할 때 마실거리 중에서 사람들은 많이 커피라고 한다. 커피를 좀 더 즐기기 위해서 커피의 맛과 향 대한 정보를 조금 더 알아봅시다.
커피 맛과 향의 대해
커피의 맛은 혀에서 느껴지는 느낌으로 대표적인 커피의 맛으로는 쓴맛, 신맛, 단맛이 있습니다. 아라비카 커피의 쓴맛은 쓰다기보다는 쌉싸름한 맛에 가깝고, 로부스타 커피의 쓴맛은 탄맛에 비슷하다. 로스팅이 강할수록 쓴맛이 강하다. 단맛은 설탕의 단맛과는 다른 것으로 쓴맛 뒤에 느껴지는 달콤함에 가까운 맛이며 주로 고급 아라비카 커피에서 느낄 수 있는 맛이다. 원두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보통 로스팅의 정도가 시티 로스팅부터 풀시티 로스팅 정도일 때에 대부분 원두가 단맛의 최고치에 이른다. 신맛은 시다기보다는 새콤한 맛, 사과의 새콤한 맛과 와인의 신맛 등과 비교될 수 있는 상쾌한 신맛으로, 소위 고급 마일드커피의 대표적인 맛으로 신맛이 부족한 커피는 별로 좋은 커피로 평가받지 못합니다. 약한 로스팅으로 인한 좋지 않은 신맛, 생두의 건조나 저장불량으로 인해 발효된 생두를 로스팅한 경우 텁텁하고도 시큼한 맛과는 구별이 됩니다. 로스팅이 강해질수록 신맛은 약해집니다. 향은 아로마와 플레버로 구분되며, 아로마는 후각으로 느껴지는 것으로 좋은 아로마는 신선하고도 달콤 구수한 냄새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플레버는 입속에서 느껴지는 맛과 향의 복합적인 느낌으로 커피가 가지고 있는 각각의 맛과 향의 조화성, 강약 등의 표현으로 풍부한 향미, 빈약한 향미, 부드러운 맛 등으로 표현됩니다. 바디는 입안에 머금은 커피의 농도, 점도 등을 의미하며 진한 느낌, 연한 느낌 등으로 표현됩니다. 흔히 맹물과 우유를 머금었을 때 입압에서 느껴지는 느낌의 차이로 비유되고는 합니다.
커피 로스팅과 맛과 향의 대해
로스팅이 강약정도는 추출된 커피의 맛과 향에 영향을 미칩니다. 각가의 원두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맛과 향보다 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로스팅하기 전에 사용할 원두 고유의 맛과 향을 어느 정도까지 발현시킬 것이며 발현된 각 원두의 맛과 향이 블랜딩을 통해 어떻게 조화를 이룰 것이며 궁극적으로 추출된 커피의 맛과 향이 어떠할 것인가를 예측하고 그에 따라 로스팅의 강약을 결정합니다. 원두의 한 종류만 보아도 커피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것은 쓴맛, 단맛, 신맛, 바디, 향 등 그리고 로스팅 포인트는 각각이다. 블랜드 커피의 경우에는 각 원두별 맛과 향의 정도를 어떻게, 어느 정도에서 조화시킬 것인가까지 계산해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 신맛보다는 쓴맛을 강조할 때가 있으며, 향과 바디를 강조할 때가 있고, 여러 가지 맛과 향을 어느 정도까지는 고루 표현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커피는 어떠한 맛과 향의 커피가 좋은 커피인가에 대한 기준은 없으며, 신맛에 적당한 단맛과 약간의 향이 있는 커피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쓴 듯하면서도 달콤하며 풍부한 향과 바디감이 있는 커피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므로 커피는 기준이 없으며, 마시는 사람에 따라 커피의 기준은 달라진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