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두의 이름 생산국가 이름
일반적으로 스트레이트 커피라 불리는 산지별 커피는 생두의 이름 앞에 그 나라의 이름을 붙인다. 생산되는 지역의 이름과 등급 등을 구체적으로 명명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수록 소비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다. 생두의 이름은 주로 생산 국가 이름, 수출 항구 이름 및 특정 지명을 붙여 부른다. 대부분 생산 국가 이름에 등급이나 그 나라의 산지 이름을 붙인다.
- 생산국가 + 산지: Jamaica Blue Mountain, Hawaiian Kona, Guatemala Antigua
- 생산국가 + 수출 항구: Brazil Santos, Ethiopoian Mocha, Yemen Mocha
- 생산국가 + 등급명: Costa Rica SHB, Colombia Supremo, Kenya AA
위에 그린빈의 크기나 맛에 대한 분류를 덧붙임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생두 나라별 구체적인 생두 표시
- 브라질: 커피 생산국 1위인 브라질은 산토스(혹은 상투스라 불림)라는 항구를 통해 수출되며 결점 수에 따라 No.2 ~ No.8까지, 그린빈의 크기에 따라 Screen 14 ~20까지 맛에 따라 Strictly Soft, Soft, Roy 등으로 표시합니다.
- 코스타리카, 과테말라: 과테말라와 코스타리카는 생산 지역의 고도에 따라 SHB, HB 등으로 구분합니다. 고지대에서 자라 단단한 커피일수록 맛이 풍부하고 섬세하여 고급 커피에 속한다. 이때 따라쥬와 안티구아는 이 두 나라의 유명한 커피 생산 지역의 이름이다.
- 콜롬비아: 콜롬비아는 콩의 크기에 따라 Supremodhk Excelso로 구분하는데 크기가 큰 것이 수프리모이며 더 고급커피로 불린다. 이때 나리뇨는 생산되는 지역의 이름이다.
-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이 지역은 코스타리카나 과테말라와 달리 산지 고도에 따라 SHG, HG, Standard로 표시한다.
- 멕시코: 고도에 따라 Altura, Lavado 등으로 구분하는데 알투라가 더 높은 지역에서 자라는 커피이다.
- 케냐, 탄자니아, 파푸아뉴기니: 크기와 맛에 따라 AA, A, B 등으로 구분한다.
- 자메이카: 블루마운틴 지역에서 재배된 것은 크기에 따라 No.1, 2, 3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그 외 지역에서 재배된 것은 High Mountain, Prime Washed로 구분한다.
- 하와이: 크기와 결점 수에 따라 Extra Fancy, Fancy, Prime으로 분류한다.
- 인도네시아: 결점 수에 따라 No.1 ~ 5로 표시하고, Robusta coffee일 경우 자연건조식은 AP, 수세식은 WTB로 표시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