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피

커피 맛의 대한 정보 표현들 커피의 맛을 알다

by 인투제이 2023. 2. 12.
반응형

커피의 신맛과 향 바디 

  • 신맛은 커피에 있어서 바람직한 성질의 하나입니다. 이는 커피에서 생성되는 건조한 느낌으로 혀 끝과 혀 안 쪽에서 느껴진다. 커피에서 신맛 역할은 와인에서의 신맛과도 같다. 커피에 날카롭고 산뜻한 성질을 넣는다. 신맛의 정도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커피 맛은 밋밋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신맛은 시큼한 맛과 혼동되어서는 안 되는데 시큼한 맛은 불쾌하고 부정적인 성질의 맛이다. 바디는 커피가 입 안에 있을 때의 느낌이다. 혀에서 느껴지는 점성, 양감, 두터움, 풍부함 등으로 구성됩니다.
  • 바디감의 좋은 예는 물과 비교하여 크림 성분이 많은 우유가 입 안에 있을 때의 느낌을 들 수 있다. 대개 인도네시아 커피들은 중남미 커피들에 비해 더욱 무거운 바디감을 갖는다. 커피는 우유로 회석되었을 때 그 맛을 더욱 잘 유지하는 속성이 있습니다.
  • 향은 맛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느낌이다. 향은 우리가 혀에서 느끼는 맛을 구별하는 데 기여한다.
  • 맛은 입 안에서 느껴지는 커피에 대한 전반적인 느낌이다. 로스트의 맛을 묘사한다는 것은 와인을 말로 표현하는 것만큼 주관적인 것이다. 와인이나 커피 두 경우 모두 개인적 취향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없습니다. 

 

 

 

 

 

커피의 맛의 표현들 

커피 맛을 보다면서 세부적인 커피 표현들을 사용한다. 

  • 뒷맛(Aftertaste) 목 뒤로 넘어가는 맛 
  • 풍부함(Fullness) 깊은 풍부함
  • 복잡성(Complexity) 여러 가지 맛이 한 데 어우러져 있음
  • 균형(Balance) 복합적인 풍미의 지각 균형, 기본적인 맛의 특징들 어느 하나가 튀지 않고 뚜렷하게 풍미의 특징들을 표현
  • 윤택함(Richness) 입안 가득 풍성함이 있는 커피의 맛 
  • 캐러멜(Caramelly) 
  • 견과 맛(Nutty) 신맛이 부족하지만 완만하고 부드러운 맛, 견과류 같은 볶은 견과류를 먹을 때 느낀 맛과 비슷한 뒷맛 

커피의 맛의 표현들은 이보다도 더 많은 표현들을 합니다. 생두의 성분 특징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며, 로스터의 로스팅 기술에 따라 맛의 표현들은 많이 달라진다. 

 

 

 

반응형

댓글